'파상풍 예방과 증상 경감'에 대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.
1. 경고
- 하이퍼테트주은 혈액 매개 바이러스 또는 다른 감염원에 의한 감염 위험을 배제할 수 없다.
- 혈우병환자나 면역기능 저하 환자는 적절한 백신 접종이 권장된다.
- 혈액 접종 시 정기적인 감염여부 모니터링이 필요하다.
- 사람 혈액을 원재료로 하여 전파 위험이 있는 환자에게 충분히 설명 후 필요한 최소한의 사용을 할 것.
2. 투여 금기 환자
- 치메로살에 과민반응이 있는 환자
- 약물 및 구성성분에 대한 과민반응 환자
3. 신중히 투여할 환자
- IgA결핍증 환자
- 용혈성, 실혈성 빈혈환자
- 면역부전 환자, 면역결핍 환자
- 심각한 저혈소판증, 혈액응고장애 환자
4. 약물이상반응
- 쇽: 호흡곤란, 쌕쌕거림, 혈압저하 등 증상 발생 시 적절한 처치 필요.
- 과민반응: 발열, 발진 등의 증상 나타날 수 있음.
- 주사부위: 동통, 종창, 경결 등이 나타날 수 있음.
5. 일반적 주의
- 연용 및 간격을 준수하여 사용하고 주의하여 경과 관찰.
- 혈장분획제제로 인한 감염 가능성을 충분히 관찰.
- 사용 시 환자에게 감염 전파 위험 설명 필요.
- 치메로살 함유제제에 대한 과민반응 주의.
- 혈전증 위험 주지하고 증상 및 징후 관찰 필요.
6. 상호작용
- 생백신 또는 다른 백신 효과를 보지 못할 우려가 있으므로 백신 접종은 투약 후 3개월 이상 연기.
- 백신 접종 후 14일 이내 투여 시 투여 후 3개월 이상 경과 후 백신 재접종이 바람직.
7. 임부에 대한 투여
- 임부 또는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은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할 경우에만 투여.
8. 소아에 대한 투여
- 저체중출생아, 신생아에 대한 안전성 확립되어 있지 않음.
9. 고령자에 대한 투여
- 고령자에게는 신중히 투여하여 상태 관찰.
10. 임상 검사치에 영향
- 면역항체가 혈중에 일시 검출될 수 있으므로 임상진단 주의.
11. 적용상의 주의
- 근육주사로만 사용하고 정맥주사하지 않음.
- 예방 시 흡착 파상풍 톡소이드 면역 개시가 바람직.
- 조제 시 방부제 함유하지 않으므로 재사용 X.
- 의사 지시와 감독 하에 투여해야 합니다.
- 발진, 발적, 가려움증 등 증상이 나타날 경우 전문가와 상의해야 합니다.
- 과다하게 투여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.
- 포장이 손상된 경우 사용하지 말아야 합니다.
[2023 약이야기] 데속시원겔0.05%의 효과, 효능, 복용방법 및 주의 사항에 대해 알아봅시다! (0) | 2023.08.23 |
---|---|
[2023 약이야기] 로수젯정10/10mg의 효과, 효능, 복용방법 및 주의 사항에 대해 알아봅시다! (0) | 2023.08.22 |
[2023 약이야기] 액상하이랙스주의 효과, 효능, 복용방법 및 주의 사항에 대해 알아봅시다! (0) | 2023.08.22 |
[2023 약이야기] 하이코민주사의 효과, 효능, 복용방법 및 주의 사항에 대해 알아봅시다! (1) | 2023.08.22 |
[2023 약이야기] 코슈정의 효과, 효능, 복용방법 및 주의 사항에 대해 알아봅시다! (0) | 2023.08.22 |